건국대의 학부교육 혁신, 대학 최초의 ‘AI 코딩 학습 플랫폼’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가 올해 9월부터 전국 대학 가운데 최초로 AI 코딩 학습 플랫폼 ‘COVI(Code Evidence)’를 자체 서버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인 ‘건국대학교 e-Campus’에 구축해 운영하면서 대학 교육의 ‘AI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대학 교육은 전공을 불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을 필수 역량으로 요구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코딩 기술 습득을 넘어 논리적·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름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SW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기존 대학의 S
법무부는 올해 고졸 검정고시에 합격한 소년원생 249명 중 130명이 2026학년도 대학 입시에 도전하고 있으며, 소년수형자 21명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다고 12일 밝혔다. 정부는 교정시설 내 학업 복귀와 진로 설계를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검정고시 특별반 수업 모습
법무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소년원에서 검정고시 특별반을 운영해 총 249명이 고졸 검정고시에 합격했다. 이 가운데 130명의 학생이 대학 진학에 도전 중이며, 이 중 100명은 수시모집 원서를 제출했고 30명은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수능시험에 응시한다.
소년원은 시·도교육청과 대학 관계자를 초청해 13회에 걸쳐 대학 입시설명회와 진학 컨설팅을 진행했다. 282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개인별 학과 탐색과 학업계획 수립을 돕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제공됐다. 한 학생(18세·광주소년원)은 “검정고시 합격에 이어 대학 진학까지 도전하는 저 자신이 뿌듯하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교정시설 내 학업 중단 청소년의 학습 기회를 보장하고, 부모와의 상담을 통해 구체적인 진학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진학지도를 맡은 한 교사는 “소년원 학생들이 입시설명회에서 진지하게 상담하는 모습을 보며 변화의 의지를 느꼈다”며 “검정고시에서 수능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이 성장의 계기”라고 전했다.
한편, 법무부는 만델라소년학교와 김천소년교도소 등 6개 교정시설에서 수능시험장을 마련해 총 21명의 소년수형자가 수능을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만델라소년학교는 2023년 서울남부교도소 내에 설치된 소년전담시설로, 대학진학준비반을 운영하며 학과 수업과 맞춤형 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시험을 앞둔 한 수형자(19세)는 “이번 수능이 인생의 재시험이라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겠다”며 “과거를 반성하고 성실하게 살겠다”고 다짐했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이번 도전이 이들에게 삶의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며 “심리상담과 직업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복귀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