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 ‘2025년 추계 기술세미나’ 성황리 개최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회장 박진원,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는 10월 28일(화)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추계 기술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기후, 환경에너지 및 탈탄소 관련 전문가를 비롯한 산학연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세미나는 ‘기후경제와 탈탄소 산업화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탄소중립 실현 △기후경쟁력 강화 △탄소저감 관련 최신 기술 동향 △탈탄소 산업 전략 △주요 정책 및 이슈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세 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 ‘2025년 추계 기술세미나’ 성황리 개최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회장 박진원,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는 10월 28일(화)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추계 기술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기후, 환경에너지 및 탈탄소 관련 전문가를 비롯한 산학연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세미나는 ‘기후경제와 탈탄소 산업화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탄소중립 실현 △기후경쟁력 강화 △탄소저감 관련 최신 기술 동향 △탈탄소 산업 전략 △주요 정책 및 이슈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세 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 확정치’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한 582억 달러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월별 수출액 및 증감률
월별 수출액 및 증감률 
반면 수입은 2.7% 감소한 533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49억 달러 흑자를 나타내며 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수출은 반도체(16.9%)·자동차 부품(5.4%)·선박(15.6%)·무선통신기기(6.3%) 등의 증가가 견인했고, 승용차(△4.1%)·석유제품(△13.8%)은 감소했다.
수출 대상국별로는 중국(3.9%)·유럽연합(18.4%)·베트남(6.3%)·대만(58.2%)·중동(1.7%)은 증가한 반면, 미국(△6.8%)·일본(△5.3%)·호주(△7.6%)는 감소했다. 특히 중국은 4개월 만에 반등했고, 미국은 증가세에서 감소 전환됐다.
 월별 수입액 및 증감률 추이
월별 수입액 및 증감률 추이  
수입은 기계류(7.9%)·석유제품(0.7%)·조제식품(2.9%) 등이 증가했으며, 원유(△19.9%)·메모리 반도체(△8.7%)·승용차(△2.8%) 등은 줄었다. 소비재 수입은 소폭 감소(△2.1%)했고, 자본재는 8.7% 증가하며 제조용 장비(31.7%)와 정밀기기(8.6%) 등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입은 중국(0.6%)·미국(2.2%)·일본(8.4%)·베트남(10.9%)·대만(0.9%)은 증가했고, 중동(△26.1%)·유럽연합(△5.2%)·호주(△6.8%)는 감소했다. 특히 원유 수입단가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12.7% 하락해, 전체 원자재 수입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