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7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에서 황석영 작가에게 최고 등급인 금관 문화훈장을 수여하는 등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33명을 포상했다고 밝혔다.
김영수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7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 `2025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에서 황석영 작가에게 금관 문화훈장을 전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올해 문화훈장은 총 17명에게 수여됐으며, 이 가운데 금관훈장은 반세기 넘게 한국문학을 이끌며 사회적 성찰과 치유의 메시지를 전해온 황석영 작가에게 돌아갔다.
황 작가는 『장길산』, 『바리데기』, 『삼포 가는 길』 등으로 민중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한국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일깨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에는 소설 『철도원 삼대』가 영어권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르며 한국문학의 위상을 높였다.
은관훈장은 김화영 고려대 명예교수, 한태숙 연극연출가, 유희영 예술원 회원, 조성룡 건축사사무소 대표가 받았다. 보관훈장은 권영민 서울대 명예교수, 작곡가 나인용, 첼리스트 양성원, 화가 이강소, 조경가 정영선 등이 수훈했다.
옥관훈장은 만화가 김형배, 국악인 최경만, 연극연출가 김아라, 도예가 신상호가, 화관훈장은 애니메이션 제작자 최신규, 동요작사가 윤석구, 무용가 허영일 교수가 각각 선정됐다.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은 은희경 소설가(문학), 최우정 서울대 교수(음악), 임도완 연극연출가(연극), 고(故) 박영숙 사진작가(미술), 종이문화재단(문화일반)이 수상했으며, 각 부문별로 상금 1,000만 원이 주어졌다.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문체부 장관 표창)은 소설가 성해나, 작곡가 이하느리, 국립창극단 김준수 단원,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박천휴 작가, 무용가 최호종, 미술가 양정욱, 도예가 유의정, 건축가 김영배 등 8명이 선정됐다.
또 자녀를 예술가로 키운 부모에게 수여하는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에는 송가인의 어머니 송순단 씨, 드러머 이태양 씨의 어머니 김혜영 씨, 현대미술가 김현우(픽셀김)의 어머니 김성원 씨가 이름을 올렸다.
시상식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자인 최호종 무용가의 공연으로 문을 열고, 송순단 씨의 자녀인 가수 송가인과 김준수 단원이 축하무대를 이어갔다. 행사장 내 ‘모두라운지’에는 수상자의 업적과 활동사진을 전시하는 포토존도 운영됐다.
김영수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은 “탁월한 예술 감성과 독창성으로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린 수상자들에게 존경과 감사를 전한다”며 “예술인이 안심하고 창작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청년예술인 성장을 지원해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